TIL 3

[AI와 함께하는 네트워크 공부] 3. HTTP란?
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 🌐 HTTP의 특징1. 무상태성 (Stateless)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이전 요청을 기억하지 않습니다.요청 1: "로그인 해주세요" → 서버: "로그인 성공"요청 2: "내 정보 보여주세요" → 서버: "누구세요? 다시 로그인하세요" 서버 부담 감소: 각 요청마다 상태를 저장할 필요가 없어서 메모리 절약확장성: 여러 서버에 요청을 분산시키기 쉬움단순성: 각 요청이 독립적이라서 이해하기 쉬움문제점과 해결책:문제: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려면?해결: 쿠키(Cookie), 세션(Session), 토큰(Token) 사용 2. 비연결성 (Connectionless)요청과 응답이 끝나면 연결을 끊..

TIL 2025.07.14

[AI와 함께하는 네트워크 공부] 2. TCP vs UDP

🚚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장점단점1. 신뢰성 보장패킷 분실 시 자동 재전송중복 패킷 제거순서 보장2. 흐름 제어받는 쪽 속도에 맞춰 전송버퍼 오버플로우 방지3. 혼잡 제어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전송 속도 조절1. 속도 느림연결 설정 시간 필요확인 과정으로 인한 지연2. 오버헤드헤더 크기 큼 (20바이트)제어 정보 많음3. 실시간 통신에 부적합재전송으로 인한 지연순서 보장 때문에 블로킹🤝 TCP 3-Way Handshake (연결 설정)📱 클라이언트 → 🖥️ 서버: "연결하고 싶어요!" (SYN)🖥️ 서버 → 📱 클라이언트: "좋아요! 연결해요!" (SYN-ACK) 📱 클라이언트 → 🖥️ 서버: "확인했어요!" (ACK) ex.// URLSession..

TIL 2025.07.07

[AI와 함께하는 네트워크 공부] 1. OSI 7계층 모델

나는 왜 네트워크 수업을 듣지 않았을까......후회할 시간이 없다!네트워크 관련 면접 질문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훑어보려고 한다0, 1레벨에 있는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ai와 함께 묻고 답하며 정리한다 🎯 7계층으로 분리 이유복잡한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성 관리: 네트워크 통신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각각을 단순하게 만듭니다. 문제 해결의 효율성: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겼을 때, 어느 계층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문제가 생긴 부분만 고치면 됩니다.표준화: 각 계층마다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규칙(프로토콜)을 정합니다. 이렇게 하면 애플, 삼성, 구글 등 다른 회사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..

TIL 2025.07.03